메뉴

곁말 80 뜻글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넋

곁말 80 뜻글

한글은 ‘소리글’이라고 하고, 온누리 모든 소리를 담아낼 수 있다고 여깁니다. 그런데 ‘글·그림·그리다·그릇’은 뜻이 맞물립니다. ‘말·마음·맑다·마을’도 뜻이 맞물려요. 소리는 같되 뜻이 다른 ‘눈(보는눈)·눈(눈송이)·눈(잎눈·꽃눈)’이 있고, ‘배(배꼽)·배(배나무)·배(거룻배)’가 있어요. 이밖에도 소리는 같으면서 뜻이 다른 ‘쓰다·차다·거르다·바르다·고르다’ 같은 낱말이 수두룩합니다. 우리나라 한글이 소리글이기만 하다면 “소리는 같되 뜻이 다른 말”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한글은 소리글이면서 뜻글이라고 느낍니다. ‘ㅏ’하고 ‘ㅓ’도, ‘ㅣ’하고 ‘ㅡ’하고 ‘·’도 소리일 뿐 아니라 뜻이 깃들어요. ‘하늘·한·해·함께·하얗다·하나’도 소리일 뿐 아니라 뜻입니다. 한글은 ‘뜻소리글(뜻글 + 소리글)’이라 해야 올바르리라 봅니다. 그리고 숱한 이웃말(외국어)도 그저 소리만 담는다고 하기 어렵고, 한자도 뜻만 담는다고 하기 어려워요. 한글은 뚜렷하게 뜻소리글이요, 이웃글도 여러모로 뜻글이면서 소리글입니다. 모든 말은 말밑(어원)을 캐노라면 뜻글로만 매기거나 소리글로만 여기기 어려워요. 우리는 마음에 씨앗으로 심을 생각을 담아내려고 말을 했고, 이 말을 그려서 글입니다.

ㅅㄴㄹ

뜻글 (뜻 + 글) : 뜻을 그대로 담거나 옮기거나 나타내려는 모습이나 무늬인 글. (= 뜻글씨. ← 표의문자, 표의자)

소리글 (소리 + 글) : 소리를 그대로 담거나 옮기거나 나타내는 글. (= 소리글씨. ← 표음문자, 표음자)

뜻소리글 : 뜻을 그대로 담거나 옮기거나 나타내려는 모습이나 무늬이면서, 소리까지 그대로 담거나 옮기거나 나타내는 글. (= 뜻소리글씨. ← 표의표음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