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루 우리말 노래 : 온살 오늘눈 바람닫이 두바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61. 온살
100이라는 셈을 우리말로는 ‘온’으로 센다. 우리말 ‘온’은 ‘모두’를 나타내기도 한다. ‘온누리·온나라’는 “모든 누리·모든 나라”를 가리킨다. ‘온몸·온마음’은 “모든 몸·모든 마음”을 뜻한다. 나이로 ‘온(100)’에 이를 적에는 모두 헤아리거나 보거나 느끼거나 안다고 여긴다. 더없이 참하고 어질다고 여기는 ‘온살’이요, 어느덧 ‘온살이날’이나 ‘온살림길’로 바라본다.


온살 (온 + 살) : 온(100)에 이른 나이. 오래 살아온 날. 오래 흐르거나 이은 나날. (← 백세百歲)
온살림날 (온 + 살리다 + ㅁ + 날) : 온(100)에 이르도록 살아온 나이. 오래 살아오거나 살아가는 길·날. 오래 흐르거나 이으며 누리거나 짓는 길·나날. (= 온살림길·온삶길·온살이길·온살이날·온삶날. ← 백세시대)

 

 

62.  오늘눈
바로 여기에 있는 이날이 ‘오늘’이다. 지나간 날은 ‘어제’이고, 다가올 날은 ‘모레’이다. 우리는 어느 날 어느 곳에 있느냐에 따라 눈길이 다르다. 오늘 이곳에서 바라보는 ‘오늘눈’이라면, 지나간 날에 지나간 그곳에서 바라보려는 ‘어제눈’이며, 앞으로 맞이할 새날을 어림하는 ‘모레눈’이다.


오늘눈 (오늘 + 눈) : 오늘이라는 눈. 오늘 보는 눈. 오늘 헤아리거나 살피거나 생각하거나 바라보는 마음·길·삶·넋·모습·자리. 바로 여기에서 둘레를 느끼고 보면서 생각하는 마음·길·삶·넋·모습·자리. (= 오늘길·오늘보기·오늘하루·오늘날. ← 현재의 방향, 현재의 관점, 현재의 정책, 현재, 지금, 현세대, 현대, 현대사회, 지금의 시대, 현시기, 현시대, 현시점, 현실, 현세現世, 현실세계, 현실감각, 당대, 현재진행, 근대近代, 근래, 근자)

 

 

63. 바람닫이
우리 옛살림을 돌아보면 ‘집’에 ‘문(門)’이 따로 없다. 으리으리한 기와집이나 임금집도 ‘길·턱’은 있되 ‘문(門)’을 안 두었다. 여느 살림집도 ‘닫이’가 있을 뿐이다. ‘닫이’는 “닫는 것”이고, ‘여닫이·미닫이’에 ‘가로닫이·세로닫이’로 나눈다. 더 보면, 우리 오랜살림에서는 ‘문(門)’뿐 아니라 ‘창(窓)’도 따로 안 두었다. ‘닫이 = 문 + 창’인 셈이다. 오늘날 집살림에서 ‘문·창’이란 한자말을 안 쓸 까닭은 없다. 곰곰이 생각하면서 새틀을 헤아리자면 ‘바람닫이’나 ‘바람길’ 같은 낱말을 여밀 만하다.


바람닫이 (바람 + 닫다 + -이) : 바람이 드나들 수 있는 길이면서, 바람이 드나들지 않도록 닫는 곳. 닫을 적에는 바람은 막되 햇볕은 들어올 수 있기도 하고, 해바람비를 다 가릴 수 있기도 하다. 열 적에는 바람하고 해를 알맞게 받아들이는 노릇을 한다. (= 바람길. ← 관문關門, 대문大門, 문門, 문턱門-, 문호門戶, 창窓, 창문, 장지문障子門)

 

 

64. 두바퀴
이제 나라 곳곳에 ‘자전거길’이 꽤 늘었다. 자전거길은 늘었되, 아직 벼슬아치(대통령·시도지사·국회의원·장관·공무원)는 이 길을 느긋이 달리면서 일터를 오가지는 않는다. 그래도 벼슬아치가 자전거길을 늘리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숱한 사람들이 “두 다리와 두 바퀴로 달리며 여는 새길”을 그렸고, 말없이 이 삶을 드러냈다. ‘외발자전거·세발자전거’도 있되, ‘자전거’라 하면 모름지기 “두 바퀴”로 여긴다. 부릉부릉 가르는 탈거리도 있되, ‘두바퀴’라 갈무리하는 이름은, 우리가 ‘두다리’로 여는 새누리를 그리는 꿈을 보여준다고 할 만하다. 왼날개랑 오른날개를 나란히 펴서 하늘바람을 마시듯, 왼발이랑 오른발을 나란히 굴려서 들숲바람을 신나게 누려 본다.


두바퀴 (두 + 바퀴) : 1. 둘 돌다. 동그랗게 움직이기를 두 판 하다. (← 이회전二回轉) 2. 두 바퀴로 구르거나 움직이거나 달리거나 가다. 바퀴를 둘 붙여서 구르거나 움직이거나 달리거나 가는 탈거리를 가리키는 이름인데, 때로는 세바퀴나 네바퀴나 외바퀴일 수 있다. 바퀴는 외나 서넛일 수 있되 ‘둘’을 바탕으로 바라보는 셈이고, 둘이 나란히 있기에 ‘두 날개’처럼 어우러지면서 바람을 타고 하늘을 날듯 ‘두 바퀴’가 어우러져서 땅에서 바람을 가른다는 뜻을 빗댈 만하다. (← 오토바이, 이륜二輪, 이륜차, 자전거, 경륜競輪)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