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달날 이레말 - 토씨 의 12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동안의 (낯)

동안(童顔)의 피부를 유지한다 → 앳된 살결을 건사한다

동안(童顔)의 매력을 발산하다 → 어린빛을 곱게 뿜는다

‘동안(童顔)’은 “1. 어린아이의 얼굴 2. 나이 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어린아이 같은 얼굴”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동안 + -의’ 얼거리라면 ‘-의’를 털어내고서, ‘어리다·어린빛·어린이’나 ‘앳되다·애티’나 ‘아이넋·아이빛·아이낯·아이얼굴’로 손봅니다. ‘풋내·풋풋하다·푸르다’나 ‘곱다·귀엽다’나 ‘맑다·말갛다·해맑다·깨끗하다·보얗다’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

내가 본 얼굴은 동안의 젊은이였다

→ 내가 본 사람은 앳된 젊은이였다

→ 내가 본 사람은 퍽 앳되었다

→ 내가 본 사람은 애티 나는 얼굴이다

→ 내가 본 사람은 퍽 젊게 생겼다

《사람들 사이로》(imagepress 엮음, 청어람미디어, 2006) 142쪽

동안의 귀여운 스타일? 난 별로야

→ 앳되고 귀여운 얼굴? 난 됐어

→ 어려 보이고 귀여운 얼굴? 난 싫어

《개코형사 ONE코 11》(모리모토 코즈에코/이지혜 옮김, 대원씨아이, 2015) 39쪽

 

 

우리말의

우리말의 어원을 분석하여 → 우리말 뿌리를 짚어 / 우리말 바탕을 살펴

우리말의 어휘 체계를 살핀다 → 우리 낱말 얼거리를 살핀다

우리말의 달인 → 우리말님 / 우리말 머드러기 / 우리말 꾸러기

우리말의 번역이 이상하다 → 옮긴 우리말이 알쏭하다 / 우리말로 엉성히 옮겼다

‘우리말 + -의’는 얄궂습니다.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쓸 마음이라면 ‘-의’를 안 붙입니다. ‘-은·-이’를 붙이거나 ‘-의’를 털 수 있고, 앞자락은 ‘우리’ 꼴만 쓰고서 “우리 말결”이나 “우리 말씨”나 “우리 낱말”처럼 손볼 만합니다. ㅅㄴㄹ

​​

순식간에 사라지는 우리 말의 음성 속에다 우리는 미래 세대 언어학자를 위해 현재 세계의 수많은 세부 정보를 간직해 놓는다는 사실이다

→ 우리는 불현듯 사라지는 말소리에다 먼 말꽃님을 헤아리며 온누리 숱한 이야기를 간직해 놓는다

《말, 바퀴, 언어》(데이비드 W. 앤서니/공원국 옮김, 에코리브르, 2015) 660쪽

우리말의 의성어, 의태어를 잘 살리는 그림책을 만들면 어떨까

→ 우리 소리말, 시늉말을 잘 살리는 그림책을 지으면 어떨까

→ 우리 소리흉내말, 몸짓말을 잘 살리는 그림책을 내면 어떨까

《나의 작은 화판》(권윤덕, 돌베개, 2020) 81쪽

우리말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라 문장을 다듬는 일을 한다

→ 우리말결을 부드럽게 살리는 일을 한다

→ 우리말씨로 매끄럽게 다듬는다

《우리는 서로의 그림책입니다》(황진희, 호호아, 2022) 92쪽

 

 

-의 교육

오늘의 교육을 살핀다 → 배우는 오늘을 살핀다 / 오늘날 배움길을 살핀다

과거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 지난날 배움틀에서 벗어나

집안의 교육에 좌우된다 → 집안 가르침에 따른다

‘교육(敎育)’은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 + 교육’ 얼거리는 ‘-의’를 털거나 ‘-을·-를’ 토씨를 붙이면서 ‘배우다·가르치다’나 ‘배움길·배움틀’ 같은 낱말로 손볼 만합니다. ㅅㄴㄹ

​​

성교육이 거의 황무지에 가까운 이 나라의 교육환경에서

→ 사랑을 거의 못 가르치는 이 나라 배움터에서

→ 참사랑을 거의 못 다루는 이 나라 배움판에서

《아버지가 버렸다》(고도원 외, 오상사, 1983) 41쪽

자기 나라 영재들의 박사과정 교육을 외국에 의탁하고 있는 나라는 하나도 없다

→ 제 나라 똑똑이들 박사 배움길을 딴나라에 맡기는 나라는 하나도 없다

→ 제 나라 똑똑이들 박사 배움길을 이웃나라에 떠넘기는 나라는 하나도 없다

《과학인의 역사의식》(김용준, 해동문화사, 1986) 115쪽

마담 메르는 아들의 교육을 손수 시작하고 싶었기에, 자신이 직접 글자를 가르치고 읽기와 셈하기도 가르쳤습니다

→ 메르 아줌마는 아들을 손수 가르치고 싶었기에, 손수 글씨와 읽기와 셈하기를 가르쳤습니다

→ 메르 아줌마는 아들을 제힘으로 가르치고 싶었기에, 글씨와 읽기와 셈하기를 스스로 가르쳤습니다

《초록색 엄지소년 티쭈》(모리스 드리용/배성옥 옮김, 민음사, 1991) 29쪽

그는 지행일치(知 行 一致)의 교육을 논했다

→ 그는 말삶하나를 가르치자고 했다

→ 그는 한넋을 가르치자고 말했다

《송건호전집 12》(송건호, 한길사, 2002) 298쪽

억지로 스웨덴의 교육 방식을 찬미할 생각은 없다

→ 억지로 스웨덴 배움틀을 노래할 생각은 없다

→ 억지로 스웨덴 배움길을 치켜세울 생각은 없다

《열다섯 살 하영이의 스웨덴 학교 이야기》(이하영, 양철북, 2008) 1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