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35
봄단비
봄에 오는 비라면 ‘봄비’입니다. 한동안 가물다가 반가이 내리는 비라면 ‘단비’입니다. 그러면 여름에 내리는 비라면? 가을이나 겨울에 내리는 비라면? 이때에는 ‘여름비·가을비·겨울비’일 테지요. 여기에서 더 생각해 봅니다. 봄에 내리는 반가운 비라면? 여름이나 가을이나 겨울에 내리는 반가운 비라면?
낱말책에는 ‘봄비’부터 ‘겨울비’까지 싣습니다. ‘단비’도 싣지요. 그러나 봄에 내리는 반가운 비를 가리킬 ‘봄단비’는 없습니다. ‘여름단비·가을단비·겨울단비’도 없어요.
낱말책에 꼭 ‘봄단비’나 ‘겨울단비’를 실어야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말도 얼마든지 실을 수 있어요. 아직 낱말책에 안 실렸어도 봄에 맞이하는 단비를 가리킬 ‘봄단비’를 누구나 생각해 보거나 지어서 쓸 수 있습니다.
낱말책에 ‘꽃비’가 나옵니다. 꽃잎이 마치 비처럼 내린다고 할 적에 씁니다. 그렇다면 봄에 꽃비를 만나면 ‘봄꽃비’라 할 만합니다. 여름에는 ‘여름꽃비’라 할 수 있고요. 가을이면 잎이 져요. 가을에 잎이 지는 모습이 마치 비가 오는 느낌이라면 어떻게 가리키면 어울릴까요? 네, ‘잎비’라 하면 되어요. 가을에 ‘가을잎비’를, 겨울에 ‘겨울잎비’를 말할 수 있습니다.
말은 누구나 짓습니다. 즐겁게 지어요. 말은 누구나 씁니다. 기쁘게 써요. 틀에 얽매이지 않기에 즐겁게 짓고, 틀에 갇히지 않기에 기쁘게 씁니다. 봄에 꽃지짐이나 꽃떡을 먹는다면 ‘봄꽃지짐’이나 ‘봄꽃떡’입니다. 가을꽃을 잘 말린 다음에 끓여 마시면 ‘가을꽃차’나 ‘가을꽃물’입니다. 여름에 찾아오는 손님은 ‘여름손·여름손님’이요, 겨울에 누리는 마실은 ‘겨울마실·겨울나들이’예요.
살아가는 결을 살펴 말 한 마디를 새롭게 짓습니다. 살림하는 결을 헤아려 말 한 마디를 곱게 나눕니다. 동무가 쓰는 말이 봄꽃처럼 곱구나 싶으면 “넌 ‘봄꽃말’을 하네.” 하며 웃을 만합니다. ‘여름바람말·가을잎말·겨울눈말’을 그려 봅니다. ㅅㄴㄹ